웹프로그램 이야기

웹프로그램 이야기

  • 웹프로그램이야기 (99)
    • Spring Batch (16)
    • Spring Data (3)
      • MyBatis With JPA (2)
      • Redis With CrudRepository (1)
    • SpringBoot Kafka (5)
    • Spring Micro Services (25)
      • RestTemplate (2)
      • Service Discovery with Eure.. (2)
      • Zuul and Ribbon (1)
      • Netflix Hystrix (2)
      • RabbitMQ (7)
      • 통합로그 (3)
      • gRPC (4)
      • interfaces (1)
      • event driven architecture (2)
    • SpringBoot Monitoring (6)
      • SpringBoot Resilience4j (5)
    • Spring Security (12)
      • Spring Boot Jwt with JPA an.. (8)
      • Vue 3 Authentication with J.. (4)
    • SpringBoot Swagger (1)
    • Python (14)
      • Flask (12)
      • 데이터전처리 (2)
    • R (2)
      • R데이터분석기초 (2)
    • React (10)
      • React Hook (2)
      • React websocket with spring.. (4)
      • React Netflix Clone Project (2)
    • 오늘의점심 (1)
    • AI (1)
      • MCP (1)
    • 국내여행 (2)
      • 강원도 (2)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웹프로그램 이야기

컨텐츠 검색

태그

Python 스프링배치 jpa grpc RESTful API Resilience4j Spring Boot refresh token kibana accesstoken Redis REACT useState Kafka rabbitmq SQLAlchemy MSA refreshtoken JWT FLASK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SpringBoot Swagger(1)

  • Swagger2 프로젝트 설정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가장 귀찮은 일은 문서 작업일 것이다. API 개발 완료 후 FrontEnd 개발자에게 API 설명을 위해서는 IN/OUT 값을 정의한 명세서를 작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API가 변경될 때마다 현행화 해야 하는 일도 만만치 않은 작업일 것이다. 만약에 API 명세서를 현행화 하지 않는 다면 프로그램은 에러가 발생할 것이다. Swagger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위에서 설명하였지만 별도의 문서 작업 없이 Documentation 작업이 가능하며 Postman을 대체해서 테스트도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어떤 분들은 단점으로 실제 코드보다는 주석의 양이 많아져서 가독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나중에 프로그램을 인수받는 입장에서는 코드도 중요하지만 코드에 대한 주석이 더 중요할 수 도 있을..

    2021.08.29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